2017년 KISA 통계 기준 인터넷 이용자 분석

1. 인터넷 접속 기기(복수응답) 분석

1위 스마트폰 94.1% (20대이하=30대>40대>50대>60대이상)
2위 데스크탑 컴퓨터 61.2% (40대>50대>30대>20대이하>60대이상)
3위 디지털TV 35.6% (40대>30대>50대>20대이하>60대이상)
4위 노트북 컴퓨터 41.6% (20대이하>30대>40대>50대>60대이상)

통계를 정리해볼 떄 가장 인터넷의 파급력이 높은 것은 현재 스마트폰이다. 30대 까지의 연령대에서 100%의 이용률을 보였고 전 기기에서 가장 낮은 이용률을 보인 6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도 80%가 넘는 이용률을 보였다.

반면 기존에 주로 이용되던 데스크탑 컴퓨터는 젊은 연령대에서 많은 하락세를 보였고 심지어 20대 이하의 연령대에서는 노트북 컴퓨터의 이용률에 역전되는 추세를 보인다. 다만 사무적으로 데스크탑 컴퓨터가 많이 활용되는 30대 및 중장년층에게는 아직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이외에 디지털 TV의 보급으로 이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도 늘어났다. 다만 스마트 TV의 경우에는 별도의 업체에서 IPTV를 이용하게 되는 관계로 이용률이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주로 20대 이하와 30대 층에서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용률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20대 이하와 30대의 연령대를 중심으로 최근의 다양한 기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이 나타나는 추세를 보였다. 학생층이 주를 이루는 20대 이하의 경우에는 스마트폰 다음으로 노트북 컴퓨터의 이용률이 높은 등 휴대가 간편한 기기를 선호하는 성향을 보인다. 경제활동이 활발한 30대의 경우에는 다양한 기기를 활용하는 측면이 있어 전반적인 기기 이용률이 높은 성향을 드러냈다.

보편적으로 웹사이트를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할 기기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1. 스마트폰
2. 데스크탑 컴퓨터
3.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해상도가 비교적 낮은 기기

인터넷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1번과 2번을 위주로 고려하되 3번과 같은 중간 단계의 해상도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20대 이하를 주로 겨냥하는 사이트의 경우에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비슷하거나 혹은 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2. 웹사이트 이용 시 접속방법(복수응답) 분석

1위 포털사이트 키워드 검색 50.2%
2위 즐겨찾기 설정 40.5%
3위 브라우저 주소창에 키워드 검색 35.0%
4위 별도의 스마트폰 앱 30.7%
5위 브라우저 주소창에 도메인 입력 21.5%

포털사이트 검색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그 뒤를 즐겨찾기 설정이 이었다. 마케팅적으로는 포털사이트에 자신의 사이트가 자주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즐겨찾기 설정의 경우는 해당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지만 1위와 3위의 경우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여 나온 결과를 토대로 접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관검색어와 배너 등이 사용자에게 눈에 띄도록 하는것이 중요할 것이다.

1. 사이트 코딩 시 메타태그에 관련 검색어를 많이 추가하여 검색 결과가 노출되도록 할 것
2. 포털 사이트의 메인 혹은 사이드에 배너 노출, 검색결과 상단 노출 등 눈에 띄도록 할 것

브라우저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한글도메인 입력 경험은 경험 없음이 69.3%를 보이는 등 도메인의 영향력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모바일 디바이스별 화면 크기(논리적 해상도 / dpi)

2018년 11월 StatCounter 기준 한국 웹 브라우저 이용률